본문 바로가기
수출입 컨설팅/컨 설 팅 사례

베트남특강 / 홈쇼핑 시장

by Richard Phyo- 2011. 12. 23.

Ⅲ. 베트남 홈쇼핑 시장


□ 베트남 TV 홈쇼핑 산업현황


1.처음 HTVC가 06년 시작, 매년 20%  급성장 했으나, 09년 부정적 방송보도로 신뢰하락

  <보도내용>

  - 홈쇼핑제품이 원산지증명이 어려워 신뢰가 없다

  - 세금이나 관세를 감안해도 가격이 비싸다(인터넷 검색비교)

  - 불량이나 하자있는 제품을 판매한다

2. 중소 홈쇼핑업체가 10여개 회사로, 낮은 가격경쟁으로 낮은 마진을 얻는 구조이며,

   인포머셜방식(시간대를 사서 사전에 제작한 광고를 방송)운영을 실시함

3. 09년 한국 HSV(한아홈쇼핑)의 진출과 CJ, 롯데, GS등이 진출함

  <국내 홈쇼핑업체의 베트남 진출>

  - HSV(한아홈쇼핑): SCTV로 24시간 전용채널 개국(현대쇼핑 출신자 운영)

  - CJ오쇼핑 : 11년 7월 SCJ로 개국하여 본격 방송 실시

  - 롯데홈쇼핑 :베트남 언론에 홈쇼핑사업 진출 발표

  - GS홈쇼핑 : 현재 전략적 파트너 물색 중

4. 베트남 TV보급율이 95%로, VTV, HTV, Hanoi TV등 3대 방송사가 있다

5. 케이블 TV방송사는 60여개 회사로, 가입자 300만(SCT가 160만)에 매년 20% 증가추세

방송사

채널

가입자수

방송지역

TV홈쇼핑

VTV

VCTV

60만

하노이와 북부도시

VNT, SCJ

SCTV

100만

호치민과 남부도시

SCJ, HSV

HTV

HTVC

90만

호치민과 남부도시

Coop, ViVi

Hanoi TV

Hanoi CATV

20만

하노이와 북부도시

VNK

  <주요 채널 TV홈쇼핑 방송현황>

  


□ 베트남의 최근 동향과 전망


1. 홈쇼핑업체와 제조업체가 품질우선으로 불신감 해소에 노력 중

  - 복제품, 기능성 아이디어 상품보다는 글로벌브랜드 상품위주로 전환

  - 홈쇼핑 시장규모 3,000만 달러, 한국 브랜드제품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호평가

2. 케이블 TV시청 주부 증가와 한류와 한국제품 선호도로 전망 밝음

  - 고객층인 기혼여성의 70%가 취업활동(가입가구의 35%, 월소득 420불 이상)

  - 구매력의 결정은 제품설명, 품질, 가격, 회사신뢰도, 빠른 배송, 취소/반품 등



□ 베트남 주요 홈쇼핑업체


1. SCJ (한국 CJ쇼핑이 SCTV와 합작설립)

  - 24시간 전용채널(호치민의 SCTV,하노이의 VCTV)

  - 디지털제품(모바일, TV, 카메라, 가전 등)50% + 생활용품, 패션, 뷰티 50% 취급

2. HSV (베트남 최초 24시간 광고방송 시작)

  - 프로그램당 15분내의 광고물로, 호치민 SCTV의 인포머셜방식 방송

  - 한국 수입, 인도네시아 소싱, 로컬소싱으로 상품(주방용, 가전, 화장품, 식품, 스포츠용품)수급


3. ViVi (Home Shopping-한국인 1/2 투자기업)

  - HTVC Shopping:24시간 전용으로 5~10분 자체제작 방송

  - C-VTC:인포머셜방식으로 1일 2시간 방송

  - 한국홈쇼핑 상품 취급(GS제공), 인삼제품 및 로컬소싱 상품 취급

4. VHS (11년 6월 방송종료한 Quang Minh채널 임차사용)

  - HTVC Shopping 채널로 인포머셜방식 운영

  - 인삼제품, 건강식품, 로컬소싱 상품을 취급



베트남 홈쇼핑 산업의 특성


1. 최신 유행하는 고가품보다는 과거 선진국에서 인기가 있었던 저가제품이 유리하다

   (한국에서 유행하던, 98년-스팀다리미, 01년-핸드믹서기, 05년-양면팬 : 현재 인기 있음)

2. 생활필수품부터 공략하라

   (경제성장 초기단계로 여러 나라에 공통으로 사용된 생활필수품들의 초기 수요가 많다

   주방용품-칼, 도마, 프라이팬 / 전자제품-진공청소기, 세탁기, 에어콘, 핸드믹서기 등)

3. 시장이 적음에 제품 수명이 짧아, 지속적인 신제품을 개발하여 소개해야 한다

   (국민소득이 낮고 기초상품인 관계로 히트상품이라도 3개월 이상 지속하지 못한다)

4.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홈쇼핑 업체를 활용하라

   (소비성이 좋은 호치민 하노이가 전체 16%차지, 두 지역 24시간 방영, 가입자수 2/3를 차지)

5. 지금은 고가전략, 향후 저가전략으로 고객층을 확대하라

   (한류와 한국 제품 인지도로 고가 가능하나, 향후 저가층 공략을 위한 저가제품의 개발이 필수)

6. 해외에서 검증된 제품이 성공률 높다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성공한 것은 베트남에서 가격만 맞으면 성공할 확율이 높다)

7. 판매할 홈쇼핑업체 소싱 결정 후, 판매시기에 맞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미용품 효능분석과 제품 안정성검사가 3~5개월, 관료사회로 통관 힘들어 6개월 후 방송가능)

8. 한.ASEAN FTA를 활용하라

   (일반품목의 관세 유예기간을 잘 활용해야 할 것이며, 2015년 이후 관세의 완전 철폐 시

    새로운 규제를 할 움직임이 있음에 항상 예의주시하고 대비를 해야 할 것이다)



□ 홈쇼핑몰 입점 후 운영 포인트

 1. 가격 통제력이 필요하다

 2. 사은품을 활용하라

 3. 인내력을 가지고 시장을 공략하라

 4. 제품을 팔지 말고 관련문화를 팔아라

 5. FTA를 잘 활용하라

 6. 브랜드파워(자사 브랜드)를 키워라


<참고문제>

현재 베트남은 무역적자가 크기 때문에

품목별 무역적자폭 관리를 위해 수출입 비율의 인위적 조절에 따른 수입지연 사태가 발생함.

이를 피하기 위한 방법은.....?


Com on~!